1. 류머티스 관절염의 증상 살펴보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초기 신호와 징후로는 관절이 붓고 눌렀을 때 통증이 발생하고 관절 주변이 따뜻해지는 것 등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걸렸을 때 비교적 적은 통증과 강직 현상을 겪지만 주기적으로 갑작스럽게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만성적인 증상을 겪는다.
관절염이 진행되면 될수록 뼈와 관절이 손상을 입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며 종국에는 완전히 기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조기에 치료를 시작해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25] 다른 증상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나타날 수 있다:
피로감, 근육통, 아침에 일어났을 때 또는 장시간 쉰 직후에 최소 1시간 이상 온 몸이 뻐근하고 굳은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퇴행성 관절염의 통증 및 뻣뻣함과는 다르며 퇴행성 관절염은 증상의 진행 속도가 훨씬 빠르다).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다른 증상을 더 자주 겪게 된다. 여기에는 자가면역질환(쇼그렌 증후군), 혈관염(혈관벽에 염증이 생김), 빈혈(적혈구 숫자가 정상적인 수치를 밑돌아 조직에 산소가 부족해지는 현상), 폐질환 등이 포함된다.
류마티스 결절이 생길 수도 있다. 이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35% 정도가 겪게 되는 증상인데 관절염이 생긴 부위의 피부 아래에 혹이 생긴 것처럼 보이게 된다. 주로 팔꿈치 쪽에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 이 결절은 통증을 유발하지는 않으며 피부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크기는 완두콩처럼 작은 것부터 레몬만한 것까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 요인 이해하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정확한 원인은 불명이나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 가지 유전자가 아닌 여러 개의 유전자군이 부모로부터 이어져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고 있다. 이런 선천적 요인 이외에도 환경 및 호르몬과 같은 후천적 요인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남성과 여성, 그리고 인종과 관계 없이 누구나 류마티스 관절염에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더 많은 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3배 가량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년 때부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3. 류마티스 관절염이 어떻게 진단되는지 알기. 류마티스 관절염은 특정 징후나 신호, 가족 병력과 함께 물리 검사 결과를 놓고 진단하게 된다. 의사가 진단내린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치료 방식을 결정짓게 되는데 최우선 사항은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한 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염증이 야기하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된다.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검사법들이 쓰일 수 있다:
관절염에 걸린 관절을 엑스레이 또는 기타 방식으로 촬영하게 된다.
혈액 검사를 통해 샘플을 채취해 류마티스 인자(Rheumatoid Factor)가 있는지 살펴보고 몇 가지 비규격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류마티스 인자 검사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여부를 진단내릴 수 있으며 비규격 검사로는 염증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진단 검사로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과 유사한 감염성 관절병증(관절의 감염으로 인해 통증 발생), 루푸스, 강직성 척추염(척추와 더 큰 관절을 대상으로 삼는 염증성 질환), 섬유근육통 등에 걸렸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