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의 백태 제거하는 방법 치료가 필요한 시점 파악


1. 심각한 질환이 있음을 보여주는 증상을 동반하면 병원이나 치과에 연락하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혀의 통증
탈수증

발열
몇 주 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백태

2. 백태와 지도상설의 차이 알기. 둘 다 심각한 질환은 아니다. [3]
지도상설에 걸리면 혀유두가 닳아 지도처럼 보이는 매끄러운 병변 생긴다.
매운맛, 신맛, 짠맛 등 맛이 강한 음식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구강 칸디다증인지 확인하기. 구강 칸디다증은 진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혀에 백태가 끼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 종종 항생제를 복용한 후에 생기며 쉽게 치료할 수 있다.[4]
혀가 화끈거리고 입 안 구석의 피부가 갈라져 아플 수 있다.

구강 칸디다증은 구강 청결제나 알약 형태로 되어 있는 항진균제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반드시 처방받은대로 약을 모두 사용한다.
활생균 보조제나 활생균이 들어있는 요거트를 먹으면 구강 내 박테리아의 밸런스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항균 성분이 있는 향신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마늘, 오레가노, 계피, 세이지, 정향 등이 있다.
요거트 외 유제품 같은 발효 식품, 술, 설탕을 피한다. 견과류, 통밀,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으로 구성된 건강한 식생활을 한다.

4. 백태의 원인이 되는 심각한 질병에 걸렸는지 파악하기. 당황하지 말자. 대개 백태 자체는 무해하고 저절로 없어진다. 하지만 더 심각한 질환에 걸렸다고 생각되면 병원에 가야 한다. 혀에 백태가 끼는 원인은 너무도 다양해서 혼자서는 정확히 진단을 내릴 수 없다.

백반증은 세포와 단백질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혀에 흰 반점이 생기는 질병이다. 보통 위험한 병은 아니지만 암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의사에게 검진을 받아야 한다.
구강 편평태선은 통증이나 화끈거림을 동반하기도 하는 면역 질환이다.

매독은 진행되면서 혀에 백태가 끼게 만드는 성병이다. 매독에 걸린 것 같다고 생각되면 병원에 가야한다. 매독을 치료하려면 페니실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구강암 또는 설암
HIV/에이즈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