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원에 간다. 당신 또는 자녀에게 황달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능한 한 빨리 의사를 찾아가도록 하자. 황달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그 증상을 일으키는 원질환이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치료가 요구된다.[4]성인에게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황달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열
오한
복통
감기와 같은 증상들
피부색과 눈 흰자위가 더 노랗고 창백하게 변함.
2. 어린이 또는 영유아의 황달을 치료한다. 어린이와 영유아도 황달을 앓을 수 있다. 황달은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데, 2주 이내에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6]하지만, 영유아의 황달 증상이 심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어린이 또는 영유아의 황달을 확인하려면 피부색과 눈 흰자위에 노르스름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본다.
어린이 또는 영유아가 황달을 앓는다면 곧바로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하자.
3. 확정진단을 받는다. 성인은 치료가 요구되는 원질환으로 인해서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의사가 황달 증세를 유발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검사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치료계획을 세울 것이다. 황달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CT촬영, 심지어 간 조직검사를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황달을 일으키는 질환들은 다음과 같다.
A형 간염
만성 B형 간염과 C형 간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al) 감염 또는 전염성 단핵구증
폭음
자가면역 질환 또는 유전자 질환
담석증
쓸개 염증
쓸개암
췌장염
아세트아미노펜, 페니실린, 경구 피임약, 스테로이드와 같은 특정한 의약품에 의해서도 황달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의사는 타박상, 거미혈관종, 수장홍반과 같은 간질환의 징후를 살펴보고, 빌리루빈 수치를 알아보기 위한 소변검사를 통해서 황달을 진단한다. 확진하기 위해 촬영이나 간 조직검사를 할 가능성도 있다.
4. 원질환을 치료한다. 의사가 황달을 유발하는 원질환을 확인했다면, 관련이 있는 다른 건강문제들이 사라지는 살펴보기 위해서 원질환을 치료할 것이다. 원질환과 합병증을 치료하면 황달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5. 황달이 저절로 사라지도록 한다. 대부분의 경우, 치료를 받지 않아도 황달은 사라질 것이다. 특히, 원질환으로 인해 황달이 발생한 경우라면, 앞서 말한 치료가 당신에게 가장 좋은 선택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반드시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6. 가려움을 완화하는 약을 복용한다. 황달에 걸리고 가려움 증상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가려움이 심해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그 증상을 가라앉히기 위해 콜레스티라민과 같은 약을 복용해야 한다.
콜레스타민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복통, 소화불량, 메스꺼움, 고창, 변비 등이 있다.
7. 영유아가 치료를 받도록 한다. 황달은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며, 성인과 마찬가지로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16]하지만, 의사가 아기에게 황달 진단을 내렸다면, 증상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다음 치료방법들 중 한 가지를 제안할 것이다.
광선을 이용하여 과도한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광선요법
황달을 일으키는 항체를 감소시키는 정맥 면역글로블린 치료
소량의 혈액을 빼내고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교환수혈. 교환수혈 방법은 신생아 황달이 매우 심한 경우에만 사용된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