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을 약간 벌리고 하품하기. 입을 벌려 “아” 소리를 내며 하품을 하려고 노력한다. 하품이 나올 때까지 입을 “O” 모양으로 천천히 벌린다.
먹먹한 귀가 뚫리는 것 같을때 멈춘다. 처음 하품을 해서 효고가 없으면 반복한다. 압력이 균형을 되찾는 것이 느껴질 것이다. 뻥 소리가 들리고 귀가 먹먹했을 때보다 갑자기 소리가 더 잘 들린다.
2.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앞으로 내밀기. 하늘을 바라보면 유스타키오관이 제자리에 온다. 턱을 앞으로 내밀면 하품을 나오게 하는 데 도움이 되며 유스타키오관이 열리고 압력이 낮아진다.
3. 껌 씹기. 하품하는 것이 효과가 없다면 껌을 씹는다. 또는 껌을 씹는 시늉을 한다. 씹는 동작은 귀 안팎 압력을 균형을 잡아준다. 또한 귀가 먹먹해지는 증상도 예방할 수 있다. 고도 변화로 귀가 먹먹해지는 것을 방지할 때 껌을 씹는다.
껌을 씹는다. 씹는 동작을 하려면 목구멍이 크게 열려 귓속 압력이 균형을 되찾는다. 씹을 거리가 없다면 씹을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것을 씹듯 과장해서 씹는 시늉을 한다.
4. 사탕 또는 목캔디 먹기. 사탕, 민트, 목캔디 등을 빨아먹으면 귓속 압력이 균형을 되찾을 수 있다. 사탕을 씹어먹지 않는다. 압력을 가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 사탕을 빨아먹는다.
5. 물 한 잔 마시기. 이미 효과가 알려진 다른 방법과 물을 마시는 것을 병행한다. 물을 한 잔 마시고 유스타키오관이 자리를 잡도록 머리를 기울인다. 물을 꿀꺽 삼켜 귓속 압력의 균형을 회복한다. 제대로 하면 귀가 먹먹한 증상과 통증이 가실 것이다.
6. 귀에 물이 들어간 경우, 손가락으로 조심스럽게 압력을 가하기. 물에서 방금 나왔는데 수압으로 인한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중력을 이용한다. 바닥과 귀가 평행이 되게 허리를 굽힌다. 막힌 변기를 뚫듯이 손가락으로 귀를 막았다, 떼었다 한다. 이렇게 하면 귓속 압력이 서서히 변해 귀가 먹먹한 증상이 가시거나 압력이 변해 귀에 들어간 물이 흘러나온다.
귀를 손가락으로 후비지 않는다. 물을 빼내려는 것이 아니라 압력을 바꾸려는 것이다. 손가락을 귀에 너무 깊게 넣으면 청력 손상이 올 수 있다.
Comments
Post a Comment